건설 폐기물이 불법 매립된 동해지구도시개발 현장에서 8일 방진망 설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스포레 사진>
속보=‘동해도시개발지구 오염토 불법 매립 약전1리 주민 피해’<본지 4일자 단독보도>에 대해 환경단체가 대책 마련과 관련자 책임 규명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포항시가 행정 조치에 나섰다.
9일 본지 취재 결과, 포항시는 최근 동해지구도시개발조합을 상대로 남구 신정리 일대 사업 부지에 외부에서 반입한 공사 현장 매립토를 다시 반출해 현장을 원상복구할 것을 명령했다.
포항시는 또 매립 부지를 임차한 W개발과 조합 측에 대해 매립지 흙더미 위에 방진망을 설치해 인근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토양 시료 성분 분석 결과와 임시 매립 기간 등을 표지판으로 고지할 것을 지시했다.
포항시 허정욱 도시안전주택국장은 이날 본지 통화에서 “건설 폐기물 불법 매립에 따른 주민 피해가 확인된 만큼 이미 명령한 원상복구가 계획대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사업자 형사고발 등 엄정한 후속 조치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포항환경운동연합도 8일 오전 현장에서 약전1리 주민들과 만나 피해 실태와 매립 현황을 직접 확인한 데 이어 9일 성명을 발표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포항환경련은 성명에서 ‘반출·반입 경로를 밝혀지지 않은 채 무단 적치된 오염토 문제 해결하라’면서 ‘포항시는 진상을 규명해 법적·행정적 조치를 하고 모든 오염토를 반출해 원상복구하라’고 촉구했다.
포항환경련은 ‘오염토들이 반출된 북구 장성동 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포엑스) 건립, 북구 죽도어시장 복개천 배출구 복구, 남구 섬안큰다리 옆 공사장 등은 모두 과거에 환경오염 논란이 빚어진 곳’이라며 ‘이번 일은 약전1리를 넘어 동해면 전체와 인근 영일만 시금치·부추 농업용수, 도구해수욕장 등의 오염을 야기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정침귀 포항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이번 일은 매립지 주변의 피해주민들이 대부분 80대 고령자에다 철강공단 근로자들인 만큼 생활기반 취약지 주민들의 환경권 보호를 위해 더 철저한 경각심이 요구된다”면서 “포항시가 원상복구 명령에서 나아가 관련자의 책임을 규명해 처벌되도록 후속 조치를 하는지 철저히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W개발과 조합이 포항시에 보고한 매립토의 분량이 실제보다 축소됐다는 의혹도 명확한 규명이 요구되고 있다.
포항시에 따르면 매립량은 각각 포엑스 1만3천㎥, 섬안큰다리 1만2천㎥, 죽도어시장 700㎥ 등 2만5천700㎥로 보고됐다. 하지만 주민들은 지난 5월 중순부터 최근까지 하루 30여대의 25t 덤프트럭들이 8회 안팎으로 현장에 드나들어 실제 매립량은 12만~10만㎥에 이를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상철 약전1리 이장은 “매립량 축소는 나중에 예상되는 처벌 수위와 직결된 만큼 포항시가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면서 “포항시의 행정 조치와 무관하게 주민들이 나서서 검·경 고발 등 모든 자구 노력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