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사진=김민석 의원 페이스북)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인 김민석 의원의 수상한 금전 거래 의혹과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자금 흐름에 대해 연일 의혹을 제기하며 이 대통령에게 임명 철회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연말정산 자료 분석을 토대로 “김 후보자 공식 수입은 최근 5년간 세비 5억1000만 원이 전부인데 지출은 확인된 것만 최소 13억 원”이라고 불법 재산 증식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민석 총리 후보자는 20일 BBS라디오 ‘금태섭의 아침저널’에서 “그 기간에 경조사도 있었고, 출판기념회도 2번 있었다”며 “국회의원이 그런 경험을 했을 때 대충 생각할 수 있는 통상적 액수가 있지 않느냐, 그것만 맞춰봐도 맞다”고 했다.
주진우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김 후보자의 출판기념회 수익을 겨냥해 “6억 원이 걷혔을 것으로 보인다“며 “김 후보자가 경조사비, 출판기념회에서 받은 돈 봉투를 모아 집에 쌓아두고 썼다니 충격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직자가 경계해야 할 ‘돈 인지 감수성’ 상실”이라며 “현재 얼마의 현금이 남았는지도 밝혀야 한다. 두 차례 총선에서 후보자 재산을 공개함에 있어 현금을 고의로 누락해 허위사실을 공표했다. 따져보니 공직자윤리법을 6차례, 공직선거법을 2차례 위반했다”고 낙마 사유라고 밝혔다.
주 의원은 “구태 스폰서 정치에 물들어 현금 6억 원을 국민 몰래 쓰고도 뭐가 문제냐는 식의 마인드라면 김 후보자는 이미 자격을 상실했다”며 “권세 높은 의원 나리들은 왜 돈을 장롱에 보관할까, 장롱도 이자를 주나”라고 비꼬기도 했다.
이 내용은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 시절인 지난 2012년 트위터에 "참 이상하죠? 돈 많은 분들은 왜 장농(장롱)에 보관할까요. 장농도 이자를 주나 보지요?"라며 현금 보유를 비판하는 취지의 글을 올렸던 것을 캡처해 함께 올렸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불법 재산 증식 의혹과 칭화대 학위 취득 논란, 자녀 특혜 의혹 등을 강하게 따져 물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이날 김민석 총리 후보 임명철회를 요구하며 국회에서 '비리백화점 이재명 정부 인사청문회 대책 긴급 의원총회·규탄대회'를 개최해 공세를 강화했다.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김 후보자는 총리 후보자가 아니라 이재명 정권이 어떤 정권인지를 보여주는 거울이다. 그 거울 속엔 도덕도, 겸손도, 국민도 없었다”며 “이 대통령께 마지막으로 촉구한다. 지금 당장 김민석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시라”고 요구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의 인사 참사가 계속되고 있다”며 “오광수 민정수석은 공무원 출신이라 그런지 곧바로 사퇴시키더니, 온갖 비리·범죄투성이 김민석 총리 후보자는 자기들 편이라고 생각하는지 끝까지 버티겠다는 태세”라며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김민석 총리 후보자에 대해 ▲수상한 돈줄 ▲수입을 압도하는 지출 ▲무소득 자산가 ▲마이너스 기부 ▲제2의 조국 ▲아들 학비 출처 ▲분신술 ▲지역구 위장전입 ▲판결문 위에 해명문 ▲반미 전력 등 총 10가지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한편, 민주당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국무총리와 상임위원장 문제를 둘러싼 발목잡기에 낭비할 시간이 없다”며 “민생부터 살리자. 국민의힘의 협력을 촉구한다”고 협조를 요청했다.
민주당 일부 의원들은 청문회 후보자에 대한 인신공격을 통해 정치적 반사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도덕성과 정책 검증을 분리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청문회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병기 대표는 “청문회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국민여러분들께서 절실히 느끼리라고 본다”며 “저도 다시 한번 청문회법 개정 발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이달 24~25일 이틀간 진행된다. 여야 양당의 증인채택에 대한 합의 실패로 증인 없는 청문회로 실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