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신원식 국방부장관, 유인촌 문화체육부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하지만 김행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에 대한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은 "일단 국회 상황을 지켜보자"는 것이다.
김 후보자의 거취를 놓고 첫번 째는 윤 대통령의 임명 강행, 두 번째는 김 후보자의 자진사퇴, 세 번째는 윤 대통령의 후보자 지명철회 등의 세가지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첫번째 방안인 윤 대통령의 김 후보자 임명 강행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낮아 보인다. 주식 파킹 의혹, 코인 보유 의혹 등 각종 논란과 더불어 인사청문회 이탈로 김 후보자에 대한 여론은 상당히 악화한 상황이다.
또한 여당 내에서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특히 김웅 의원과 전여옥 전 의원은 SNS에 글을 올려 자진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강서구청장 선거결과도 임명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여권을 향한 우호적인 민심이 감지된다면 윤 대통령이 김 후보자 임명을 결단할 수 있지만, 큰 격차로 낙선한다면 다른 선택지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구청장선거는 인물보다 정당에 대한 호오(好惡)를 가르는 선거"라며 "강서구청장 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선전한다면 윤 대통령의 국정에도 동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김 후보자가 자진 사퇴를 결정할 수도 있다. 국회 국정감사가 시작되며 김 후보자의 임명 결정은 차일피일 미뤄지는 상황이다. 김 후보자와 국민의힘을 향한 인사청문회 파행 책임론은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
김 후보자는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이 자신을 배임 혐의로 고발한 데 대해 '묻지마 고발'이라며 오히려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 여권 관계자는 "김 후보자의 SNS는 사실상 끝까지 싸워보자는 뜻 아니겠냐"고 분석하며, 김후보자의 자진사퇴 가능성을 배제했다.
정부 관계자는 "인사청문회는 대통령이 인사를 제안하고 국회가 검증하는 절차 아닌가? 인사과정에서 후보자가 솔직하게 말하지 않은 내용이 청문회를 통해 밝혀질 때가 있다"며 "이같은 시점에 윤 대통령의 용단을 보여주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행 여가부장관 후보자 청문회 파행을 놓고도 여야는 대립을 이어갔다.
윤재옥 국민의 힘 원내대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권 위원장의 편파적 회의 진행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며 김 후보자와 함께 청문회장 옆 대기실에서 자정 넘도록 대기했다"며, "민주당이 후보자에게 도망자 프레임을 씌우고 망신주기 청문회의 전형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이에 권인숙 여가위 위원장은 "대기실에 있었다는 것은 김 후보자가 집으로 갔다는 말과 아무 것도 다를 것 없는 말"이라면서, "과거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는 청문회 당시 여당 의원들이 집단 퇴장했지만 끝까지 청문회 자리를 지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맞받아쳤다.
만약 윤 대통령이 김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다면 이는 윤석열 정부 들어 첫 사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