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사진=이재명 페이스북)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이 심상치 않다. 취임 후 일본과의 관계 개선,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과 관세 협상, 대국민 소통 그리고 APEC 정상회담을 앞두고 보합세를 보였던 지지율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었다.

리얼미터가 27일 에너지경제신문의 의뢰로 지난 20∼2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이 51.4%를 기록해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여 취임 이후 최저치에 근접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 대통령 지지율은 취임 후 64.6%까지 상승했다가 조국 사면 논란 등으로 하락세에 접어들며 8월 2 주차 조사 때 51.1%로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이번 부동산 정책의 주요 설계자로 알려진 이상경 국토부 차관의 ‘갭투자’ 의혹과 복기왕 의원의 ‘15억 서민 아파트’ 발언 등으로 중도층이 등을 돌리며 이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한 요인이라고 리얼리터는 분석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민심이 심상치 않다고 보고 “당에선 반 발짝 뒤에서 로우키(low-key)로 가야 한다”며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에 대한 공격으로 국면전환을 노리자, 야권은 공세를 강화하며 날 선 공방을 이어갔다.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는 2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동산 문제에 대해서 민주당은 반 발짝 뒤로 빠지자고 말했다”며 “민주당 정권이 10·15 ‘주거 재앙’ 정책에 있어서 정책적 자신감을 상실했다고 본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는 민주당이 장동혁 대표를 다주택자로 몰아 공격한 것에 대해서도 “일종의 물타기”라고 일축했고, “누구 1명을 빼는 문제가 아니라, 10·15 주거 재앙 정책을 이재명 정부가 철회해야 한다. 이 정책을 밀어붙이기 위해서라면 이상경 차관은 유지시켰어야 됐다”고 실패를 인정하고 부동산 정책의 재수립을 촉구했다.

앞서 민주당의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의 부동산 6채 보유 문제에 화력을 집중하면서 여야 국회의원의 부동산 보유 전수조사를 제안하며 당내 '부동산특위 위원장' 사퇴를 주장했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장 대표 소유 부동산은 다 합쳐도 8억 5,000만 원이고 거주용이거나 가족 상속분”이라며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의 40억 원대 강남 아파트 한 채 값도 못 된다. 애먼 곳에서 삽질하지 말고 제대로 된 부동산 정책이나 내놔라”라고 반격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민주당의 장동혁 대표를 향한 공세에 “마이바흐, 벤틀리 타는 사람들이 집에 중형차, 경차, 용달, 오토바이 한 대씩 있는 사람한테 차가 4대라고 공격하는 느낌”이라고 꼬집었다.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두고 내로남불과 주거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비판이 폭주하는 가운데 고위 관료들의 설화가 겹쳐 특검 정국으로 개혁을 몰아붙이려는 민주당으로서는 부동산이라는 역린을 잘못 건드려 개혁의 동력이 상실되지 않을까 좌고우면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