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사진=강선우 페이스북)
이재명 대통령이 갑질 논란에 휩싸여 여론의 뭇매는 물론, 친여권 일부와 민노총, 여성단체 등 각계각층의 철회 요청을 거부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에 대해 임명을 강행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강선우 여성가족부 를 비롯한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했다.
이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국회에 국방부(안규백)·국가보훈부(권오을)·통일부(정동영)·여가부(강선우) 후보자의 청문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며 “이번 주 안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24일 목요일로 정해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 등 4명의 장관 임명을 25일 강행하면 이재명 정부는 출범 50일 만에 처음으로 청문보고서 채택 없는 국무위원을 임명하게 된다. 민주당이 과반이 넘는 167석으로 김민석 국무총리 국회 인준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9명의 장관이 여야 합의 또는 여당 단독 보고서 채택 등 국회 청문 절차를 거쳐 임명된 것과 대조적이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부터 20일 안에 청문을 마쳐야 하고, 기한 내에 국회가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못한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간을 정해 청문경과보고서 송부를 국회에 요청할 수 있다.
인사청문회 재송부를 요청한 4명의 후보자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것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다. 국회 보좌진 갑질과 장관 갑질로 범진보 진영이 반대하고 민주당 보좌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임명을 강행하는 것은 국정운영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권영국 정의당 대표가 “윤석열 이후의 첫 여성가족부를 부적격자에게 맡길 수는 없다”며 “같은 당의 전임자(정영애 전 여가부 장관)가 이러한 (갑질)사실을 직접 공개했다는 사실 자체가 강 후보자의 세평을 고스란히 보여준다”고 임명철회를 요구했다.
하지만, 우상호 정무수석은 21일 라디오에 출연해 “(대통령에게)가장 마지막에 영향을 미친 것은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배경에는 민주당 의원들의 동지 의식과 '강선우가 낙마하면 다음에 의원들이 장관이 될 가능성이 적어져 당 지도부에서 적극적으로 옹호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문진석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보좌진과 의원은 동지적 관점도 있다”며 “의정 활동이라는 게 의원 개인의 일이냐, 아니면 공적인 일이냐, 이걸 나누는 게 굉장히 애매하다”고 밝혔다.
그는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보좌진과 의원 관계에 있어 갑질은 약간 성격이 다르다”, “자발적인 마음을 갖고 하는 보좌진도 있다”며 “너무 가까운 사이다 보니 의원들도 가끔 사적인 심부름은 아무 거리낌 없이 시키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밝히며 강 후보자를 비호했다.
이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은 이날 페이스북에 갑질 의혹을 받고 있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옹호한 민주당 계 인사들에게 “보좌관은 비서 아닌 공직자”라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은 자기들 보좌진을 소위 ‘통진당식 생활비서’로 본다”면서 “보좌진은 ‘피같은 국민 세금으로 월급 받는 공직자’”라고 거듭 임명철회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