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판정에 출두하고 있다. (사진= SBS캡쳐)

윤석열 전 대통령이 17일 페이스북을 통해 탈당을 선언했다.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에서부터 논란이 되었던 출당이냐, 제명이냐의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윤 전 대통령은 “사랑하는 당원 동지 여러분,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그동안 부족한 저를 믿고 함께 해주신 당원 동지들께 고개 숙여 감사드린다”고 시작했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존속될 것이냐, 붕괴되느냐 하는 절체절명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제가 대선 승리를 김문수 후보 본인 못지 않게 열망하는 것도 이번 대선에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라고 탈당 이유를 밝혔다.

이어 “자유민주주의 없이는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도, 국민 행복도, 안보도 없다”며 “길지 않은 정치 인생을 함께 하고 저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만들어 준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윤 전 대통령은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며 “동지 여러분께서는 자유 대한민국과 국민의힘을 더욱 뜨겁게 끌어안아 주는 것만이 나라와 국민을 지키고 미래세대에게 자유와 번영을 물려 줄 수 있는 것”이라고 당부했다.

또 “제가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자유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며 “이번 선거는 전체주의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지난 겨울,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뜨거운 열정을 함께 나누고 확인한 국민 여러분, 청년 여러분, 국민의힘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주십시오. 반드시 투표에 참여해 주십시오. 여러분의 한 표 한 표는 이 나라의 자유와 주권을 지키고 번영을 이루는 길”이라고 마무리했다.

그동안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두고 한동훈 전 대표는 승리의 조건으로 윤석열 부부와의 절연을 요구했고, 친한계의원들도 출당을 요구했지만, 김문수 후보는 결단을 하지 못하고 윤 전 대통령의 결단에 맡겼었다.

지난 15일 김용태 비대위원장이 취임하면서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가 최고수위에 이르렀고 친윤계와 김 후보는 대통령의 탈당이 득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밝히며 윤 전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연속으로 보도되는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의 지지율이 답보상태에 놓이자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은 기정사실화 되었고 시점이 언제냐가 화두로 등장했다.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으로 김문수 후보는 계엄에 사과했고, 탄핵에 반대한 것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태도를 취했지만 이제는 명확하게 정리하고 갈 명분이 생겼다.

이에 따라 그동안 선대위에 참여하지 않았던 한동훈 전 대표를 위시한 친한계가 합류할 계기가 마련되어 선거운동에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