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내정자(사진=김용태 페이스북)
국민의힘이 6·3 대선을 20여 일 앞두고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과 출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딜레마에 빠진 김문수 후보와 15일 비대위원장 추인 절차를 밟을 김용태 의원의 선택이 주목받고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14일 경남 사천 유세 뒤 윤 전 대통령 탈당과 관련해 “대통령께서 잘 판단하실 것”이라며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하는 것이 옳다”고 답변했다. 윤 전 대통령의 결단 여부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시는지 저는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밝혀 결단을 촉구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도 이날 “대선 승리를 위해 희생적 결단이 필요하다”면서 “스스로 탈당해야 한다”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에 힘을 실었다.
윤 전 대통령의 당적 논란에 기름을 붙인 계기는 한덕수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가운데 우여곡절 끝에 김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결정된 직후 낸 메시지 때문이다.
전한길씨를 통해 “우리의 반대편은 강력하다. 이제 우리는 단결해야 한다”며 “6·3 대통령 선거는 단순한 정권 교체의 문제가 아니라 자유 대한민국 체제를 지킬 것인가, 무너뜨릴 것인가 그 생사의 기로에 선 선거”라고 밝히면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이번 선거를 치르는 계기를 만들었고, 나아가 당내 경선에서 ‘윤석열 개입설’로 곤욕을 치렀던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이 대선에도 개입할 의사를 드러낸 것이라 해석하며 비상이 걸렸다.
이전에도 윤 전 대통령의 출당은 국민의힘에 게 딜레마로 작용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계엄의 바다를 건너고 탄핵에 사과하고 윤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라"고 김문수 후보에게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하지만 김문수 후보는 계엄에는 사과하지만 당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는 만큼 윤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면서도 김용태 비대위원장을 임명함으로써 당적 정리에 유연한 입장으로 선회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여의도 정가에서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할 것이라는 여론이 돌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는 나오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측근들의 전언을 통해 절대 탈당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갖고 있다는 이야기가 더 설득력 있는 분위기였다.
국민의힘은 15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김용태 의원에 대한 비대위원장 추인 절차를 밟게 된다.
비대위원장으로 임무를 수행하게 될 김용태 의원의 첫 일성에 윤 전 대통령 탈당과 관련된 어떤 메시지기 나올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