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뉴스포레 창간 1주년 기념 ‘포항지진’ 토크콘서트는 3년간 연이은 재난으로 정부에 대해 수면 아래 가라 앉은 듯 보였던 포항지역사회의 시민의식을 재확인하고 논의를 재점화시키는 계기가 됐다.
이날 오후 2시 포항시청소년문화의집 다목적강당에서 열린 ‘이제 진짜 포항지진을 이야기 하자’ 행사에는 시민사회단체 회원과 지역 원로,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장종용 포항시북구청장과 최해곤 포항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 김성조(개혁신당 포항북구당원협의회 위원장)·김형철·최광열 포항시의원, 김병욱 전 국회의원(포항 남), 강창호 포항시개발자문위협의회장, 이대공 (사)애린복지재단 이사장, 이성환 포항뿌리회 초대회장, 한영광 전 포항대 교수, 김승유 민주평통포항시협의회장, 임종백 국민기업포스코바로세우기위원장, 홍승철 전 선린대 교수, 모성은 포항지진범대책본부 의장, 유성찬 포항환경연대 공동대표, 진승화 바르게살기운동포항시협의회장 등 주요 인사들도 참석해 축하했다.
해외 출장 중인 이강덕 포항시장은 축전을 통해 ‘정론직필의 뉴스포레 창간 1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토크콘서트를 계기로 포항지진의 피해와 대책 마련을 위한 합리적인 토의의 장이 다시 열리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진한 고려대 명예교수(전 연구부총장)는 ‘2017 포항지진과 그 이후 국내·외 연구동향’의 주제 발표에서 ‘심부 지열발전소 개발 시 지질학·지구물리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부지 선정 시 정밀지질조사 및 지구물리탐사 △시추 시 커팅 시료(단층암)의 분석 및 이상 징후 시 지질학자와의 소통·해석 등이라고 밝혔다
또 ‘△단층대에 대한 정확한 지식 △수리자극과 수압파쇄 시 발생된 미소지진의 정밀분석 △지질학과 지진학의 해석자료에 기반한 신호등 체계 설정 및 준수 △모든 사항의 모니터링과 신뢰성 검증 및 방향 제시를 위한 위원회 등도 중요하다’면서, ‘하지만 포항지열발전소 개발 때 이 같은 중요한 점은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또 올해 세계적인 권위의 ‘Geo-Energie’ 포항지진 분석보고서의 주요 결론은 포항지진의 직접적 원인은 PX-2 주입정에 가한 최대 90MPa의 물주입’이라며 “30MPa 수압(스위스 바젤)이나 10MPa(프랑스 정부 최대 허용치)였다면 포항지열발전소는 ‘안정’했을 것으로 평가된다"고 발표했다.
또 결론으로서 ‘2017년 포항지진은 정부조사단과 국제학계로부터 촉발(유발)지진으로 결론이 났으며 수치해석 모델링 등에 의해 포항지진의 발생과정에 대한 더 자세한 규명이 국제적으로 진행됐다’면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활용해 안전한 물 주입을 통한 심부지열발전 개발연구가 국제적으로 활발하다’고 강조했다.
임재현 본지 발행인은 주제발표 ‘포항 민·관·학계의 공동 대응, 성과와 평가’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20~’23)과 태풍 힌남노 사태(’22.9)의 공백으로 지진 원인 규명과 피해 보상만큼 중요한, 국내 최악의 사회적 재난 경험을 도시 발전의 역량화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은 마련되기 어려웠다'고 밝혔다.
임 발행인은 '하지만 포항지진의 발생 원인 왜곡은 정부에 의해 아직도 진행 중’이라며 ‘포항시가 전문가 토의의 장을 이어온 상황에서 뉴스포레도 민간의 논의에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고 취지를 밝혔다.
임재현 발행인은 ‘재난 거버넌스 주체별 리더십 평가’에서는 ‘△지자체장의 특화된 위기 대응력 △11.15지진지열발전대응공동연구단의 구성 및 활동 △범대위, 범대본, (사)포항지역사회연구소의 역할 분담 △고 박태준 포스코 회장의 선견지명의 산물인 포스텍과 건학 설립을 도운 한동대 등 민·관의 공조를 평가했다.
또 '지역 지식인들의 노력으로 발간된 여러 저작 등 포항은 전국에서 유례가 없는 지역사회 자강의 역량을 보여줬다’면서 ‘지진의 경험을 포항과 시민의 지혜로 삼아 지구온난화와 과학문명 발전의 위험사회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일상화된 재난 위기의 전면에 노출되는 공무원을 위한 안전 대책 △재난을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지역 거버넌스 정비 등 대안도 제시했다.
임재현 발행인은 지열발전 컨소시엄에 참여한 포스코에 대해 △지진 사태에 대응하는 연대기구 참여 사회단체 이탈 조장 등 와해 시도 △제철소 압연공장 건설을 위한 냉천 하구 유로 변경으로 인한 태풍 힌남노 사태 원인 유발 △힌남노로 인한 제철소 침수 원인을 포항시에 전가하기 위한 중앙 일간지의 왜곡 보도 및 최인호 전 의원 등 민주당 진상조사단의 현장 방문 및 기자회견 유도 사례 등을 제시하며 각성을 촉구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진홍 전 한국은행 부국장은 “‘포항의 지진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추계했을 당시 금액규모가 정부 추산액보다 6배 정도 많이 나오게 되었다’고 이야기하지만 당시 보고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많은 전제가 깔려 있었다”면서 “총 3천325억원이 큰 금액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750억원은 일상적인 경제활동의 피해가 약 3개월만에 회복된다고 가정한 것이며 나머지는 직접적인 자본스톡의 피해액이었다”고 지적했다.
김 전 부국장은 또 “이때 2천500억원의 자본스톡 피해액은 정부의 기준단가로 피해액을 계산한 것이므로 시가기준이라면 수치는 훨씬 더 높았을 것”이라며 “경제활동이 포항지진 이전의 상태로 완전복귀하는데 3개월을 가정한 것이기 때문에 그 보고서에서 가정을 3년만에 회복했다고 한다면 3개월의 1년치가 약 3천억원이므로 9천억원, 5년이 걸렸다고 한다면 1조5천억원규모까지로도 추정할 수 있었으므로 이후 지진 손배소송 등에서 필요하면 그 보고서를 이용해도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주성균 (사)동대해문화연구소 이사는 “포항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문화재 가운데 아직도 상당수가 복구되지 않고 있다”면서 “정확한 피해 현황과 복구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지역 현황에 밝은 포항 소재 전문기관이 우선적으로 참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주 등 인근 지역의 기관이 선점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재현 발행인은 "물의 힘으로 쇠를 절단하는 '워터 제트 머신' 수압의 1/4인 89MPa로 포항 지질에 충격을 준 포항지열발전소 유발지진은 '안전 한국'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 포항시민에게 씌워진 가시관이나 다름 없다"며 "고난을 먼저 겪은 포항시민이 사회적 재난의 경험을 딛고 자강의 지역사회 발전의 길을 개척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포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